전체 글
-
화면 가르기개발 2022. 9. 2. 10:58
개발자는 생산성을 높여야 조금이라도 더 잠을 잘 수 있다. 큰 모니터를 사용하고 화면을 분할하면 매우 생산성이 높아진다. 물론 직접 tile window to left/right 을 사용할 수 있겠지만 간단한 단축키로 화면분할을 쉽게 할 수 있는 툴이 있다. 무료 프로그램 중에 맥에서는 brew install --cask rectangle을 터미널에 입력하면 설치할 수 있다. 권한들을 모두 풀어주면 사용할 수 있다. 가장 많이 쓰는 이중 분할은 ctrl opt 좌 우 방향키이다. 그럼 즐코~
-
20220901 TIL 객지프 객지프 신나는노래~TIL 2022. 9. 1. 13:45
이번 주는 객체지향프로그래밍을 본격적으로 배우고 있다. 스윙이라는 자바를 이용해서 GUI를 만들 수 있는 도구도 배워서 UI와 비즈니스 로직의 분리를 열심히 해보고 있다. 이번 주에 처음 스윙을 접했을 때는 css를 처음 배웠을 때처럼 레이아웃이 내 맘같지 않아서 시간을 많이 썼다. 그리고 이제는 스윙에 어느정도 익숙해져서 객체지향프로그래밍을 열심히 이해해보고 적용해보려고 노력 중이다. 옛날에 테트리스를 객체지향적으로 파이썬과 자바스크립트로 각각 짠 적이 있었기 때문에 객체지향이 별 것 아닐 거라 생각했지만 웬 걸 내가 했던 건 객체지향이 아니었다. 객체들을 이용해서 프로그램을 만들었었으나, 일단 파일 분리가 안되어서 한 개의 파일에 거의 500줄이 넘는 코드가 들어 있었고, 지금 보니 객체지향적으로 짰..
-
20220831 TIL 두려움과 걱정을 날려 버리자TIL 2022. 8. 31. 14:32
버틴다고 생각하면 지친다. 뭐든 그냥 하나씩 하면 된다. 두려움과 걱정에 시간을 쓰느니 잠을 조금이라도 더 자고, 그냥 하자. 오늘의 잘한 점: 마카오뱅크 (이번주 최고 보스)인출 성공! 확실히 짝프로그래밍을 하니 혼자 할 때보다 잘 되는 것 같다. 걱정하지 말고 일단 월요일에는 만약 인출 안되면 강의 따라서라도 쳐보자. 오늘 한 실수: 마카오뱅크를 하면서 JPanel을 상속한 패널을 하나 만들고서 그 패널 생성자에서 또 패널을 생성했다. JPanel을 상속한 패널에서는 this.add로 바로 넣고 싶은 것들을 넣어주자!!! field에 private붙이는걸 깜빡했다. field에 private 붙이자. 상수는 public static final 대문자 로 선언하고 다른데서 가져올 때 getter없이 ...
-
20220830 TIL 짝프 베리베리 굿 (단축키도 겟!)TIL 2022. 8. 30. 14:43
짝프로그래밍이 제일 좋아~ 어제 투두리스트 하느라 강의 인출을 한 번도 못 해봤는데도 간단계산기를 거의 다 인출했다. 짝프로그래밍의 효과임이 틀림 없다. 서로 조금씩 부족했던 부분을 채워줘서 강의를 한 번도 보지 않고 계산기 프로그래밍 작성을 완료했다. 그리고 오늘 은희님께 배운 새로운 단축키들: cmd d shift opt 좌우 intelliJ 왼쪽 패널 폴더 클릭하고 cmd n 하면 바로 파일 생성 가능 그리고 까먹지 말 것! Cannot find symbol 에러가 뜨면 의존성 있는 파일들도 다 같이 컴파일 해줘야 프로그램이 돌아간다. 잘 돌아가던 게 안돌아가면 컴파일 제대로 해줬나 체크 꼭 하자! 오늘 잘 돌아가던 코드가 리팩토링하면서 파일 분리한 후에 컴파일할 때 에러가 떴는데 전혀 원인을 모르..
-
20220829 TIL 반성해야 하는 하루TIL 2022. 8. 29. 18:05
자만해 버렸다. 주말에 개념노트를 일요일에 완성해버려서 강의대로 인출해보지 않았다. 오늘 강의를 보면서도 강의반복과제를 제 시간에 못 끝냈다. 반성하자. 오늘 안에 퀘스트 과제 시작은 적어도 해야 한다. 일단 고칠 수 있는 문제점을 하나씩 짚어보자. 1. 주말 아침 시간 세이브 - 노는 시간을 줄여야 한다. (없애야 할지도.) 2. 왔다갔다 시간 줄이기 - 야전 침대에서 자자. 3. 인출 못 했다. - 인출 무조건 주말에 해야한다. - 적어도 한 번은 강의를 안보고 칠 수 있을 때까지 잠을 안 자고서라도 해야 한다. - 그래야 평일에 퀘스트과제를 할 수 있다. - 일요일 오전 중에 개념노트 끝내고 일요일 오후에는 인출하기 4. 책 필기하는데 시간 너무 오래 걸린다. - 책 필기하지 말고 포스트잇으로 중요..
-
3주차 개념노트메가테라 2022. 8. 28. 23:56
GUI(Graphical User Interface) 말 그대로 그래픽으로 프로그램이 사용자와 소통하는 방식이다. 우연히 터미널을 열어보기 전까지는 원래 프로그램이 이런 방식으로만 돌아가는 줄 알았을 것이다. 개발자가 아닌 사람들도 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식이다. 거의 모든 것은 다 GUI로 되어 있다. CLI(Command Line Interface) TUI(terminal user interface)라고도 한다. 개발자스러운 방식이다. 단색 창에 명령어를 입력해서 조작하는 방식이다. Library 단어 뜻 그대로 실제 도서관에서 책을 빌려 읽듯이, 유사한 관심사를 갖는 함수들을 빌려서 재사용하기 쉽게 만든 것이다. 내가 만들지 않아도 다른 사람이 만들어 둔 라이브러리를 프로그램에 끌어와서 사용할 수..
-
20220828 TIL 배워두면 다 쓸 데가 있다.TIL 2022. 8. 28. 11:59
모든 지식들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쓸 데가 없을 것 같아도 뭐든 배워두면 나중에 도움이 되는 경우가 있다. 물론 지금 해야 될 더 중요한 것이 있는데 다른 것을 배우고 있으면 안되겠지만, 아예 나의 분야와 관계 없는 주제의 TED영상이나 유튜브 영상들을 보면서 스트레스도 풀고 지식을 다양하게 습득해두면 좋다. 그런데 나는 왜 그러지 아니했는가. 후회가 막심하나 지금부터라도 쉴 수 있을 때 전혀 관계 없는 분야 지식도 습득을 해야될 것 같다. 프로그래밍을 해보지 않은 사람은 프로그래밍이 알고리즘만 잘 짜면 된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개발자는 영어를 잘해야 한다. 변수 명명할 때도 영어로 해야하고,(물론 한국어로 하는 경우도 가아끔 있다.) 디버깅할 때도 구글신에게 영어로 물어봐야 한다. 물론..
-
20220827 TIL 공부를 하고 놀자TIL 2022. 8. 27. 21:10
나는 공부가 아니라 노는 걸 미뤄야 한다. 토요일에 평일동안 공부한 것에 대한 보상심리가 생겨서 오전에 공부를 안 하고 있다. 오전에 좀 놀아야 시동이 걸려서 오후에 슬슬 강의를 볼 의지가 생긴다. 하지만 강의량과 학습해야 되는 분량이 엄청나게 늘었기 때문에 이미 오후 9시가 다 되어가는 지금, 강의 영상도 다 못봤다. 그나마 오늘은 오전에 타자연습이라도 하면서 생산성을 높이기 위함이었다고 위안을 삼을 수 있을 지 모르겠지만, 이 일이 반복되면 지옥이 펼쳐질 것이다. 내일, 그리고 다음 주 주말에는 무조건 오전을 날리면 안 된다. 몇 시간을 연속으로 버려버리면 곤란하다. 아. 쓰다보니 왜 이 현상이 일어났는지 생각이 났다. 오늘 타이머를 맞추지 않았...다. 내일부터는 무조건 오자마자 타이머부터 키고 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