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L

20221122 TIL 쓰던 기능이 deprecated 되었을 때 어떻게 할 것인가

jiwoosmile 2022. 11. 22. 12:21

https://www.sharepointeurope.com/wp-content/uploads/2018/10/Understanding-the-Deprecation-of-SharePoint-Variations1.png

몇 주 전 강의에서 강의를 찍을 때는 돌아가던 기능이었지만,

불과 몇 주 사이에 기능이 deprecated 되어 강의대로 진행할 수 없던 부분이 있었다.

그때는 가이드가 주어졌었지만, 

내가 프로젝트를 하다가, 혹은 업무를 하다가

기존 기능이 deprecated 되어 수정을 해야 되거나 다른 기능을 사용해야 되는 상황을 만날 때는 내가 해결을 해야 된다.

마지막 강의에서 아샬 님께서 기능이 deprecated 된 것을 확인하고 해결해나가는 방식을 보면서

가이드가 없는 상황에서 어떤 기능이 deprecated 되었을 때 어떻게 하면 될지 고민을 해보았다.

 

기존 기능을 타이핑했을 때 deprecated 되었다면 인텔리제이는 아래 사진처럼 취소선이 그어진다.

취소선을 보면, 'cmd 클릭'을 하거나 'cmd 아래 화살표'를 이용해 해당 코드로 이동해서 자바독을 읽어본다.

읽다 보면 아래에 Deprecated Use a ~~부분을 찾을 수 있다.

HttpSecurity와 WebSecurityCustomizer을 'cmd 클릭'을 하거나 'cmd 아래 화살표'를 이용해 이동해서

자바독을 살펴보고, 어떻게 적용할지 판단한다.

 

혹은 구글에 'websecurityconfigureradapter deprecated'를 검색해보면 

https://spring.io/blog/2022/02/21/spring-security-without-the-websecurityconfigureradapter

공식 블로그 글이 있는 경우도 있다.

어떻게 바꾸면 될지, deprecated된 이유 등을 파악할 수 있다.

 

누군가 어떻게 해야 될지 알려주기 전까지는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는 상태에서

그래도 키워드를 잡을 수 있는 방법을 찾은 느낌이다.

자바독을 잘 활용하면 좋을 것 같고, deprecated 되었을 때 어떻게 할지에 대한 두려움이 많이 사라졌다.

아직 모르는 게 한가득이지만 모든 것을 다 아는 것 자체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정보 습득력과 해결 능력을 키우는 것에 초점을 두고 앞으로의 과정을 진행해 나가는 것이 중요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