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fCORS 포트폴리오 1주차 주간회고
이번 한 주 동안은 포트폴리오 기획을 하였다.
내가 만들 서비스의 목적을 정의하고,
사용자 스토리를 작성하고 인수테스트를 설계하고, 화면 플로우를 설계하였다.
그리고 F/E URL과 REST API를 설계하였고,
깃헙 프로젝트를 이용해서 프로젝트를 관리하기 위해 백로그를 작성하였다.
그리고 오늘부터 1주일 단위로 스프린트 진행을 위해 스프린트 계획을 세웠다.
인수테스트를 대략 저번주 금요일에 마감지었지만, 작업에 쉽게 들어가지 못하고 막막하게만 느껴지고 있었는데,
이 부분에 대해 같이 공부하고 있는 분들이 모두 공감을 하고 있었다.
그리고 그 이유는 처음부터 너무 잘하려고 하는 것이었고,
인지 부하가 오게 되어 오히려 아무것도 진행하지 못하는 상황에 이르렀다.
이에 대한 해답은 간단했다.
지금보다 더 나은 코드가 존재한다는 것을 인지하고,
다음번에 할 때 지금보다 나은 코드를 작성할 수 있게끔 계속 발전시켜나가면 된다.
지금 완벽히 좋은 코드를 짜려고 해도 더 나은 코드는 계속 존재할 뿐더러,
작업이 진행되지 않아서 조급해지고,
오히려 코드를 많이 짜보면서 내가 발전할 부분을 찾아내는 것이 더 많이 배울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작업 크기를 작게 잡아서 성취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매일 어떻게 작업을 해야 심리적 안정감을 얻을 수 있는지에 대해 고민하고,
원하는 결과물을 빨리 보기 위해 어떻게 해야할지 고민을 해야한다고 조언을 받을 수 있었다.
그래서 내린 결론은 어떤 작업을 하다가 막히면 막힌 원인을 찾고, 빠르게 찾아보고,
스스로 해결이 되지 않으면 바로 질문을 하는 방식으로 작업을 하기로 결심했다.
어떤 작업을 한 개를 계속 잡고 있느라 1주일동안 아무런 진척이 없는 것이 가장 큰 문제이기 때문에
진도가 나가지 않는다면 진도가 나가지 않는 작업을 미루던, 다른 방법을 찾아야 한다는 점을 명심하려고 한다.
그리고, 뽀모도로를 이용해서 나의 작업 속도를 측정하고, 작업 전 작업하는데 얼마나 걸릴지 예상하는 데 사용해보려고 한다.
작업 속도가 느려지지 않는 것에 초점을 두고 프로젝트를 잘 진행해보도록 하자!
화이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