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L
20230109 TIL 삭제를 어떻게 하면 좋을까?
jiwoosmile
2023. 1. 9. 21:38
나도 드디어 삭제 기능을 추가하게 되었다.
일단은 정말로 디비에서 없애는 방식으로 구현을 해두긴 하였는데,
보통은 소프트 딜리트, 즉 디비에서 없애지 않고, 삭제되었다는 표시만 해두는 방식으로 진행한다고 한다.
이 방식을 사용하면 기존 기능들도 수정을 해줘야해서 일단 실제로 삭제가 되는 방식으로 작업을 했지만,
프로젝트 기능 완성 후에는 소프트 딜리트 방식으로 수정하려고 한다.
소프트 딜리트를 할 때 그렇다면 실제로 언제 디비에서 삭제를 하는지 궁금했다.
사용자가 삭제한 데이터를 무한정 들고 있는다면 물리적인 공간도 부족할 것이고,
사용자가 원치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언젠가는 삭제해야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는 주기적으로 소프트 딜리트된 정보들 중 오래된 정보들을 지운다고 한다.
예를 들면 소프트 딜리트 된지 30일 등이 되었을 때 삭제한다고 한다.
크론탭 등을 사용해서 주기적으로 실제로 삭제하면 되려나 싶은 생각이 들었다.
개발을 배우면 배울수록 실제로 동작하는 방식과 학습한 방식이 다른 경우가 많은 것 같다.
해보지 않은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쉽지는 않지만 하나하나 할수록 익숙해질 것이라고 믿고 조금씩 할 수 있는 것을 늘려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