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가테라
-
6주차 개념노트 (HTML, CSS 총정리)메가테라 2022. 9. 25. 15:50
W3C W3C는 World Wide Web Consortium의 약자로, 웹표준을 제정하고 관리하는 기관이다. HTML, CSS, DOM, SVG등을 관리한다. HTML HTML은 HyterText Markup Language로, 웹 페이지를 만드는 데 사용하는 언어이다. HTML태그들로 웹페이지를 만들 수 있다. HTML 태그는 태그 이름을 로 감싸서 표현한다. 대부분의 태그는 열고 닫음이 명확해야 한다. 태그 한개로 표현이 가능한 경우에는 와 같이 쓸 수도 있다. 닫는 태그는 태그이름 앞에 /가 있다. 등의 종료 태그 없이 시작하는 태그만 있는 태그를 빈 태그라고 한다. 지금은 HTML5가 최신 버전이다. html문서 최상단에 을 써서 HTML5문서임을 명시할 수 있다. 헤딩입니다. 가 기본 포맷이다..
-
4주차 개념노트메가테라 2022. 9. 11. 13:45
build 소프트웨어에 필요한 수 많은 파일들(소스 코드 + 리소스)을 변형 또는 압축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소스 코드를 실행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들어주는 것도 빌드이고, 코드들을 압축해서 전체 크기를 줄이거나 난독화하는 과정도 빌드에 해당한다. 컴파일 언어의 경우 컴파일이 당연히 build과정에 포함된다. 배포(개발한 프로그램을 사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해서는 빌드 과정이 필요하다. Gradle등의 빌드 도구를 이용해서 빌드할 수 있다. 배포 빌드한 결과물을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것을 의미한다. 사용자들이 다운로드할 수 있는 곳(구글 플레이 등)에 업로드하거나 웹사이트의 서버에 올려서 웹사이트에 개발한 것을 반영하는 것을 의미한다. jar 파일 소스 코드와 리소스들을 한 개의 파일로 모은 파일이다. 프로그..
-
3주차 개념노트메가테라 2022. 8. 28. 23:56
GUI(Graphical User Interface) 말 그대로 그래픽으로 프로그램이 사용자와 소통하는 방식이다. 우연히 터미널을 열어보기 전까지는 원래 프로그램이 이런 방식으로만 돌아가는 줄 알았을 것이다. 개발자가 아닌 사람들도 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식이다. 거의 모든 것은 다 GUI로 되어 있다. CLI(Command Line Interface) TUI(terminal user interface)라고도 한다. 개발자스러운 방식이다. 단색 창에 명령어를 입력해서 조작하는 방식이다. Library 단어 뜻 그대로 실제 도서관에서 책을 빌려 읽듯이, 유사한 관심사를 갖는 함수들을 빌려서 재사용하기 쉽게 만든 것이다. 내가 만들지 않아도 다른 사람이 만들어 둔 라이브러리를 프로그램에 끌어와서 사용할 수..
-
[메가테라 루틴] 쓸 데 없는 생각말고 그냥 코딩 하기나 해~메가테라 2022. 8. 22. 13:06
이제 더 이상 다른 것에 신경 쓸 여유는 없다. 코딩에만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두자. 저에게만 해당되는 부분들이 있기 때문에 참고하시는 분들은 바꾸고 싶은 부분들을 자신에게 맞게 바꿔서 쓰시면 됩니다. ★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필요한 사이트/ 도구 다 열어두기 github (내 코딩도장 레포지토리, 1mptera/web-03-java 레포지토리) 소스트리 (코딩도장, web-03-java) 메가테라 기수 대표 페이지 (즐겨찾기도 해두기) 코딩도장 페이지 해당 주차 페이지 진도체크 시트 내 블로그 주말동안 정리해둔 노트들 한 주의 시작에 브랜치 미리 만들어두기 coding-dojo 폴더 들어가서 브랜치 YYYYMMDD- 으로 월~목 과제 브랜치 만들어두기 assignment 폴더 들어가서 브랜치 ..
-
2주차 개념노트메가테라 2022. 8. 21. 21:21
반복문 제어문 중 하나로, 컴퓨터는 사람과 달리 동일 연산의 많은 반복을 짧은 시간에 실수 없이 정확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컴퓨터에 반복문을 잘 시키는 것이 컴퓨터를 효율적으로 쓰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while, for, do-while문 이 대표적이다. while 조건이 참일 때 코드를 실행한다. if조건이 참이면 코드를 실행하고, 다시 조건을 확인해서 참이면 코드를 실행하는 방식이므로 if문의 반복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조건이 거짓이 되는 경우가 없는 경우 코드를 무한히 반복하게 되고, 당연히 컴퓨터가 에러를 뱉게 된다. while문은 조건이 false인 경우 실행이 한 번도 되지 않는다. 하지만 코드를 짜다 보면 일단 한 번은 실행을 시키고, 그 다음부터 조건을 검사해서 조건을 만족하..
-
1주차 개념노트메가테라 2022. 8. 14. 22:31
컴파일 흔히 소스코드(원시코드)라고 하는 개발자가 작성한 코드는 0과 1만을 이해할 수 있는 컴퓨터가 이해할 수 없기 때문에 컴파일이라는 과정을 통해 사람이 짠 코드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방식으로 바꾸는 과정을 일컫는다. 아주 먼 옛날 0과 1로만으로도 코딩을 했던 경우는 컴파일러가 필요 없었겠지만, 0과 1로만 이뤄진 코드를 읽는 것은 매우 시간이 많이 들고, 코드를 작성하는 과정에서도 실수가 많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점차 코드는 사람의 언어와 가까워졌고, 따라서 컴퓨터와 사람의 코드 사이에서 번역하는 과정이 필요하게 되었다. 파이썬같이 컴파일을 하지 않아도 되는 언어도 있다. 인터프리터 방식을 사용하는데, 이건 컴파일 없이 매 코드 줄을 읽어서 결과를 출력하는 방식이다. Java란? 19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