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L
-
20230207 TIL 아는 것을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TIL 2023. 2. 7. 21:12
요즘 동생도 개발공부를 시작했다. 전공자이긴 하지만 git을 처음 접하면서 많이 헤매고 있는 것 같다. 개발 공부를 시작할 때 넘어야하는 큰 산 중 하나가 git인 것 같다. 나도 처음 git을 만났을 때 매우 당황스러웠고, 이해를 할 때까지 많은 실수를 했던 것 같다. 동생에게 git을 왜쓰는지부터 어떤 flow로 작업을 하면 되는지를 전반적으로 알려주게 되었는데, git을 매일 수도없이 많이 사용하면서도 중간 중간 staging등을 어떻게 쉽게 설명할 지 고민되는 부분이 생겼다. 포트폴리오를 마무리하고 나면 이력서를 제출하고 면접을 보게 될텐데, 잘 알고 있어도 설명을 하기가 어려운 것을 느꼈기 때문에 면접에 대비하기 위해서 정말 설명을 많이 해봐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쉽진 않겠지만 내가 알고..
-
20230206 TIL 계층 분리의 장점을 느껴보다TIL 2023. 2. 6. 12:52
개발을 시작하면서부터 데이터를 보여주는 부분과 관련된 코드와 비즈니스 로직을 분리해야한다, 관심사의 분리가 적절히 이뤄져야 한다는 말을 많이 들어왔다. 변경에 대한 여파를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들었는데, 실제로 불편함을 겪어보기 전에 이미 계층화가 되어있는 상태로 코드를 짜면서 큰 불편함도, 큰 이득도 느끼지 못하고 있었다. 그런데 오늘 계층화가 정말 소중하다는 것을 느끼게 되었다. 계층화가 없었다면 정말 많은 부분을 수정해야됐을 뻔 했는데, 계층화를 통해 변경의 여파를 줄일 수 있는 것을 실제로 겪어보니 계층화의 중요성에 대해 깨달을 수 있었다. API에서 응답값의 더 적절한 key 값을 찾게 되어서 API를 수정했는데, 클라이언트에서 관련된 모든 부분을 다 고쳐야하나 전체 검색을 하던 중에 생..
-
20230204 TIL 어떻게 차별화할 것인가TIL 2023. 2. 4. 22:56
오늘은 사업을 하고 계신 분과 대화를 나눌 기회가 있어 여러가지 사회생활에 대한 조언을 받아보았다. 다방면으로 조언을 받았는데, 그중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부분은 mz세대는 차별화를 하기가 매우 쉽다는 점이었다. 사회생활은 사람과 사람 간의 관계가 매우 중요하다. 회사에 오너십을 갖고, 조금 더 나서서 일을 진행하고 하는 등의 일들을 스스로 한다면 좋겠다는 말씀을 해주셨다. 물론 요즘은 회사에 한몸 바쳐 희생한다고 인생이 바뀌는 세상은 아니다. 따라서 많은 mz세대가 이러한 이유로 하지 않는 일들을 조금만 신경쓰면 쉽게 차별화를 할 수 있다고 하셨다. 입사 후 시킨 일이 없어도 도와드릴 일이 있는지 먼저 여쭙거나, 문서를 확인하는 등의 센스를 장착하는 것을 추천해주셨다. 이외에도 많은 조언을 해주셨는데,..
-
20230203 TIL 테스트는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TIL 2023. 2. 3. 17:32
어제는 아임포트 API를 서버에서 연결을 했고, 오늘은 웹 클라이언트에서 내 서버의 API를 통해 아임포트 API를 활용할 수 있도록 API를 작업하고 있었다. @SpringBootTest @ActiveProfiles("test") class VerifyAccountServiceTest { private VerifyAccountService verifyAccountService; private UserRepository userRepository; @SpyBean private IamPort iamPort; @BeforeEach void setup() { userRepository = mock(UserRepository.class); verifyAccountService = new VerifyAccoun..
-
20230202 TIL RestTemplate으로 아임포트 API 호출하기TIL 2023. 2. 2. 17:45
아임포트 API호출 시 access token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따라서 access token을 먼저 받아올 수 있는 issueAccessToken이라는 메서드를 만들었다. (api key와 api secret은 https://classic-admin.iamport.kr/settings에서 확인할 수 있다.) private static final String HOST = "https://api.iamport.kr"; private IamPort iamPort; private String accessToken; private IamPortAccessToken iamPortAccessToken; private String apiKey; private String apiSecret; public IamP..
-
20230201 TIL 효과 좋은 스트레스 풀어주는 방식을 찾다TIL 2023. 2. 1. 16:37
프로그래밍은 고도의 집중력을 요하고, 어려운 문제나 처음 맞닥뜨린 문제를 만나서 해결이 잘 안되면 머리에서 열이 나기도 한다. 그래서 스트레스를 어떻게 효율적으로 풀 수 있을지 항상 고민을 해왔었다. 잠시 산책도 해보고, 맛있는 것도 먹어보고, 낮잠도 자보고 여러가지를 시도해봤었다. 물론 모두 어느정도 효과가 있지만, 스트레스를 받을 때마다 계속 시도를 하기 상대적으로 어려운 방식이었다. 그러던 중 오늘 나에게 가장 효과가 좋은 스트레스 해소법을 찾았다. 하와이나 아름다운 바다 및 산 등의 대자연을 4K로 찍은 잔잔한 음악이 깔린 영상에 흠뻑빠지는 것이다. 보통 드론으로 찍은 경우가 많기 때문에 VR 체험을 하는 듯한 느낌도 느낄 수 있다. 영상을 잠시 잠시 볼 수 있기 때문에 스트레스 지수를 적정 수준..
-
20230131 TIL 은행 목록을 어떻게 관리하는 것이 좋을까?TIL 2023. 1. 31. 16:59
환전하기 기능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은행명과 계좌번호를 검증하는 단계에서 위와 같이 많은 은행을 선택할 수 있게 목록을 보여줘야 했다. 실제로 내가 필요한 것은 은행코드이기 때문에, 서버에서도 은행 목록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마크업을 먼저 작업을 하는 편이었기 때문에 마크업을 하면서 실제로 하나하나 하드코딩을 해보았는데, 너무 많아서 힘들었다. 그래서 은행 목록을 api로 서버에서 받아올까? 라는 생각이 들었다. 만약 이 방식을 이용하면 지원하는 은행이 바뀐다면 서버에서만 바꿔주면 되니 좋을 것 같기도 하였다. 그런데 불필요한 네트워크 통신을 늘리는 것이 아닐까 하는 의문도 함께 들었다. 또 다른 대안은 프론트에서 은행 목록을 배열로 가지고 있고, 리액트에서 map을 이용하는 방법이었다. 즉, API를 ..
-
20230130 TIL 일잘러가 되는 길TIL 2023. 1. 30. 21:09
노아님께서 항상 해주신 말씀이 있었다. '개발자에게 개발도 중요하지만 더 중요한 게 있어요!' 개발자에게 개발보다 더 중요한 것은 뭘까? 개발자는 개발자이기 전에 직장인이다. 따라서 일을 잘해야 한다. 그런데 일을 잘한다는 것은 무엇일까? 개발은 비즈니스가 잘 되기 위한 수단이다. 즉, 결국 비즈니스가 잘 되게 하는 것이 일을 잘 하는 것이다. '코딩의 신' 아샬님께서는 개발을 하지 않고 문제를 풀어낼 수 있는 게 가장 베스트라고 하셨다고 한다. 그 이유는 개발이 꽤 많은 리소스를 필요로 하기 때문일 것이다. 만약 개발 없이 해결할 수 있다면 다른 중요한 사안을 개발할 수 있으니 훨씬 좋은 성과를 낼 수 있다. 오늘 스프린트 점검 중에 홀맨님께서 해주신 말씀이 있다. CRUD중 R을 먼저 해서 가짜데이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