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21126 TIL 문서화의 중요성TIL 2022. 11. 26. 19:08
이번 주는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내가 부족하다고 느끼고 있던 부분인 문서화를
어떻게 하면 더 잘할 수 있을지에도 초점을 두고 진행해보았다.
프로젝트들을 진행해봤을 때 프로젝트 초기에는 문서가 없어도 큰 문제가 없었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기억하고 있어야 하는 부분을 까먹게 되면서 문제가 생겼었다.
시간이 지나면서 초기에 계획했던 부분과 달라지는 부분도 있었는데,
이 모든 것을 다 기억하고 관리하는데 문서 없이는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그래서 항상 진행하는 도중에 '아 그 때 문서를 좀 만들어 둘 껄' 하는 경우가 많았고,
그래서 이번 프로젝트에서는 완성과 함께 문서화를 내가 할 수 있는 수준에서
프로젝트를 진행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게 작성해보려고 노력했다.
그래서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첫날에는 문서에 어떤 내용이 들어가야 될지를 떠올려보고, 템플릿을 먼저 만들었다.
어떤 내용들이 들어가야 될지 떠올리는 데 꽤 오랜 시간이 걸렸고,
노션의 다양한 기능도 사용해보지 않았어서 아래와 같은 템플릿을 짜는데 첫날의 시간을 많이 쓸 수 밖에 없었는데,
결과적으로 매우 좋은 시간 투자였다.프로젝트를 진행할수록 문서를 많이 찾아보게 되었고,
문서에 기록된 정리된 내용을 바탕으로 개발을 하니 개발을 할 때 내가 작성한 문서만 보고 빠르게 진행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시간을 오히려 아낄 수 있었다.
매일매일 어떤 작업을 했는지 떠올리기가 쉽지 않았기 때문에 계획 및 작업 일지 항목을 만들어 두었고,
개발을 시작하기 전에 오늘 무엇을 할지 먼저 계획을 해서 간략하게라도 작성을 해두고,
작업을 진행하면서 큰 대목들을 작업 내역에 작성해두었다.
그리고 진행하다가 코드가 개선이 되어야 할 것 같은데,
어떻게 하면 좋을지 바로 떠오르지 않는 부분들은 고민되는 부분들 항목에 모아두어
나중에 좋은 아이디어가 떠오르면 해당 부분을 어떻게 해결했는지도 함께 간략하게 적어두었다.
진행하면서 깨닫게 된 부분들, 기억해두면 좋을 것 같은 부분들은 진행하면서 중간중간 회고에 남겼고,
작업을 마치고 나서 기록해둔 것과 하루 동안 느낀점을 바탕으로 회고를 다듬어서 작성했고,
프로젝트를 마무리하고 나서 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느꼈던 점을 바탕으로 최종 회고도 남겼다.
그리고 처음에 템플릿을 작성할 때는 고려하지 못했던 기억해야 될 부분들이 프로젝트 진행 중에 생기면
템플릿에 추가하는 방식으로 작업을 진행했다.
모든 것을 다 기억할 수 없고, 혼자서 작업하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문서화는 필수라고 생각한다.
하나 아쉬웠던 점은 작업을 하느라 바빠서 문서를 깔끔하게 작성하지는 못했는데,
앞으로는 문서를 다듬는 시간을 따로 할당해두고, 진행을 해보면 좋을 것 같은 생각이 들었다.
바쁠수록 문서화를 챙기기 어려운데, 문서화를 챙기지 않으면 언젠가 결국 더 큰 문제가 되어 돌아온다.
아무리 바빠도 기록을 잘 남기는 습관을 갖도록 하자.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1128 TIL 유효성 검사를 어떻게 하면 좋을까? (0) 2022.11.28 20221127 TIL 막연함을 구체화하기 (0) 2022.11.27 20221125 TIL 언제나 틀어지는 계획 속에서 살아남을 방법을 찾자 (2) 2022.11.25 20221124 TIL jest에서 모킹을 하는 다양한 방법 (0) 2022.11.24 20221123 TIL SQL을 배우다 (0) 2022.11.23